바빠? 바뻐?

우리말에는 양성모음(ㅏ, ㅑ, ㅗ, ㅛ)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ㅓ, ㅕ, ㅜ, ㅠ)은 음성모음끼리 결합하는 ‘모음조화’ 현상이 있으며, 이에 맞게 쓰는 것이 표준이다(몇 가지 예외가 있으나 나중에 설명). 따라서 모음조화 규칙에 맞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없’다 -> ‘ㅓ’는 음성모음임 -> 없어(o) 없아(x)
‘많’다 -> ‘ㅏ’는 양성모음임 -> 많아(o) 많어(x)
‘알’다 -> ‘ㅏ’는 양성모음임 -> 알아(o) 알어(x)
‘좋’다 -> ‘ㅗ’는 양성모음임 -> 좋아(o) 좋어(x)
‘죽’다 -> ‘ㅜ’는 음성모음임 -> 죽어(o) 죽아(x)
귀’찮’다 -> ‘ㅏ’는 양성모음임 -> 귀찮아(o) 귀찮어(x)
미치’겠’다 -> ‘ㅔ’는 음성모음임 -> 미치겠어(o) 미치겠아(x)

가 됨을 쉽게 알 수 있다. 이것이 ‘모음조화’ 규칙이다. 현대 국어에서는 이 규칙이 매우 빈번하게 파괴되며, 이미 예외라고 하기도 힘들 정도다(따라서 국어 공부하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바빠’, ‘바뻐’의 경우는 조금 어려운 문제인데, 이의 으뜸꼴은 ‘바쁘다’이므로 활용하면 어간 ‘바쁘-‘에 어미 ‘-어’가 붙게 되는데 이 때 어간의 ‘으’가 탈락하는 현상이 생긴다. 따라서 ‘바ㅃ-‘ + ‘-어’가 되며, ‘-어’는 모음조화 현상에 따라 ‘바’에 의해 ‘아’로 바뀌게 되어 ‘바빠’가 옳바른 활용이다. 많은 이들이 ‘바빠’라고 사용해야 할 것을 ‘바뻐’라고 사용하는 것은 음성 모음을 선호하는 음성 모음화 현상 때문이기도 하고, ‘으’가 탈락하는 불규칙 활용임을 몰라서, 음성모음인 ‘으’를 좇아서 ‘-어’를 붙이게 되어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이를 다른 단어에도 적용해 보면

담그다 -> ‘담그-‘ + ‘-어’ -> ‘담ㄱ-‘ + ‘어’ -> 담가
따르다 -> ‘따르-‘ + ‘-어’ -> ‘따ㄹ-‘ + ‘어’ -> 따라
잠그다 -> ‘잠그-‘ + ‘-어’ -> ‘잠ㄱ-‘ + ‘어’ -> 잠가
아프다 -> ‘아프-‘ + ‘-어’ -> ‘아ㅍ-‘ + ‘어’ -> 아파

가 됨을 금세 알 수 있다.

모음조화에도 표준으로 인정하는 예외규정이 있으며(점점 공부하기가 어려워진다는 말과 같은 뜻이다), 다음과 같다.

1. 어간이 단음절일 때, 어간 ‘ㅏ, ㅗ’에 붙은 ‘ㅂ’ 받침 뒤에 ‘-아(았)’가 붙으면 ‘와’로 변함.

예) 곱-아 -> 고와(‘고아’가 아님)
돕-아 -> 도와(‘도아’가 아님)

2. 어간이 단음절이 아닐 때, 어간 ‘ㅏ, ㅗ’에 붙은 ‘ㅂ’ 받침 뒤에 ‘-아(았)’가 붙으면 ‘워’로 변함.

예) 아름답-아 -> 아름다워(‘아름다와’, ‘아름다아’, ‘아름다어’가 아님)
괴롭-아 -> 괴로워(‘괴로와’, ‘괴로아’, ‘괴로어’가 아님)
놀랍-아 -> 놀라워(‘놀라와’, ‘놀라아’, ‘놀라어’가 아님)

3. 기타

소꿉질, 오뚝이, 깡충깡충, 오순도순, 서로 등

출처 :
교열 리포트 – 홍성호 지음, 커뮤니케이션 북스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104&eid=xARixbbvj4Jrd6mDHfkWEaf7gSzed1rb

날로 우리말의 불규칙성이 증가하고 잘못된 말이 양산되고 있는 것은 반가운 소식이 아니다. 그만큼 우리 스스로 우리말 문법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이며, 우리말 문법을 배울 필요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쓰는 잘못된 우리말 때문에 우리가 배워야 할 우리말 문법은 더욱 다양해지고 불규칙해진다. 게다가 이런 현상이 특정 지방에서만 두드러지므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한 나라 안에서 언어체계의 혼란이 생기고, 심해지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흔히들 지적하듯 단지 방언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다. 방언은 그대로인데 ‘현대 서울말’이 너무 빠르게 변화하는 것도 문제다. 실제로 위에서 지적한 ‘음성모음화’ 현상은 매우 빠르게 퍼지고 있으며 가까운 시일 내에 표준어로 채택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런 현상은 지역간의 불평등을 야기할 것이다). 제발 말과 글을 사용하기 전에 한 번만 더 생각하고 쓰자.

덧. 이거 예전에 한번 썼던 내용인데 자세히 알아보고 새로 씀. 틀린 부분 있으면 지적 바람.

덧2. 여담으로 내 이름도 모음조화 현상이 지켜지지 않은 예이다(펑).

One thought on “바빠? 바뻐?”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