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눈에 띄게 늘어난 사이시옷의 쓰임에 대해

‘꼭지점 댄스’가 맞는가? ‘꼭짓점 댄스’가 맞는가?

이 의문으로부터 모든 사이시옷에 대한 의심이 시작되었다.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조건>

1. 첫째 조건 :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합성어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새로운 말을 만들어낸 합성어라야 합니다. 어근이란 새로운 말을 만들어 낼 때 어근 스스로 독립적으로 말 뜻을 갖는 것을 말합니다. ‘시-퍼렇다’와 같은 낱말의 경우는 ‘퍼렇다’는 독립적으로 낱말 구실을 하므로 어근이 될 수 있지만 ‘시-’의 경우는 독립적으로는 낱말 구실을 못하고 새로운 말[파생어]을 만들 때만 구실을 하므로 어근이 되지 못합니다. 이렇게 파생어를 만들어 낼 때 관여하는 ‘시-’와 같은 것을 접사라고 합니다. ‘시-퍼렇다’는 접두사와 어근이 결합된 파생어입니다. 합성어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적어야 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깨+묵→깻묵’과 같은 말은 합성어입니다. ‘깨’라는 말과 ‘묵’이라는 말은 어근으로서 언제든지 독립적인 낱말 구실을 하기 때문입니다.

2. 둘째 조건 : ‘토+토’ 또는 ‘토+한’

첫째 조건을 만족시키는 합성어라고 하더라도, 그 직접 구성요소인 어근들이 각각 토박이말이거나, 토박이말과 한자말이어야 합니다. 즉, 토박이말끼리 결합하여 합성어를 이루든지, 토박이말과 한자말이 결합하여 합성어를 이룬 경우여야 합니다. 두 개의 어근 가운데 하나는 토박이말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한자말끼리 결합하여 합성어를 이룬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습니다. 그런데 한자말 합성어 가운데 다음의 6개만 사이시옷을 붙입니다. 그 한자어 6개는 ‘찻간, 곳간, 툇간, 셋방, 횟수, 숫자’입니다. 이 6개의 한자어를 외우기 쉽게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찻간에 몸을 싣고 곳간 같고 툇간 같은 셋방을 얻으러 다니던 일이 횟수로 몇 회인가 숫자를 모르겠다.

따라서 ‘초점’이나 ‘외과’의 경우에는 한자어끼리의 합성어이지만 위에 나열된 한자어 6개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습니다.

3. 셋째 조건: 된소리, ㄴ/ㄴㄴ 덧남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마지막 조건은 합성어를 이룬 낱말을 발음할 때 뒷소리가 예사소리에서 된소리가 되거나, 없던 ‘ㄴ’이나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입니다. ‘아래-쪽’과 같은 낱말은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합성어이고 그 구성요소가 ‘토-토’이므로 둘째 조건까지는 만족시키지만 ‘쪽’의 ‘ㅉ’이 원래 된소리이지 합성어를 이룰 때 된소리가 된 것이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습니다. ‘코+물’은 합성어이고 ‘토-토’이며 발음할 때 없었던 ‘ㄴ’ 소리가 덧나 [콘물]로 소리나기 때문에 표기할 때 사이시옷을 넣어 ‘콧물’로 적습니다.

물론 이와 같은 기준이 적용되는 낱말은 앞의 어근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앞의 어근이 받침이 있는 경우는 사이시옷을 적을 필요가 없습니다. ‘산+길’의 경우에는 합성어이고 ‘토-토’이고 [산낄]과 같이 된소리가 나지만 앞 말에 받침이 있어 사이시옷을 적지 않아도 됩니다. 이러한 경우를 우리는 ‘사잇소리 현상’이라고 합니다.

그럼 연습을 해볼까요?
우리의 신체 부위 가운데 머리 속에 있는 뇌를 우리말로 ‘골’ 또는 ‘머릿-골’이라고 합니다. 사이시옷을 받쳐 적은 것이 맞는지 확인하려면 우선 첫째 조건을 적용시켜 보아야겠죠? ‘머리’와 ‘골’의 결합이니까 합성어가 맞습니다. 그리고 둘째 조건에서 토박이말과 토박이말의 결합이니까 둘째 조건도 만족시킵니다. 그리고 셋째 조건에서 발음할 때 [머리꼴]로 된소리가 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므로 ‘머릿골’로 적는 것입니다.

‘머리-통’의 경우는 어떨까요? 첫째 조건과 둘째 조건은 만족시키지만 셋째 조건에서 탈락합니다. 된소리가 나거나 ㄴ소리가 덧나지 않으니까요. 따라서 사이시옷 없이 ‘머리통’으로 적어야 합니다.

이제는 사이시옷을 적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스러울 때는 위와 같은 순서로 따져 보면 분명해 지겠지요?

그러나 한 가지 의문이 가시지 않는다. ‘하구둑’의 경우는

1. ‘하구 + 둑’ 이므로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합성어다.
2. ‘둑’ 이 토박이어 이므로 두 번째 조건을 만족.
3. 발음이 [하구뚝]으로 나므로 세 번째 조건을 만족.

하지만 금강 하구에 있는 둑의 공식명칭은 ‘금강 하굿둑’이 아니라 ‘금강 하구둑’이다. 반면에 국어사전에 ‘하구둑’은 없고 ‘하굿둑’만 있다. 또한, 2005년작 최진실 주연의 ‘장밋빛 인생’이라는 드라마가 있는 반면에 1994년작 최명길 주연의 영화 ‘장미빛 인생’도 있다. 초등학교 때 수학책에는 ‘꼭지점’밖에 없었는데 요즘은 ‘꼭짓점’ 댄스를 춘다. 백과사전에는 ‘꼭지점’이, 국어 사전에는 ‘꼭짓점’이 나와 있다. 이렇게 사이시옷에 대한 맞춤법이 개판 오분전이어서야 어떻게 하나.

한글 학회의 ‘뿌리깊은 나무’님이 올리신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M_ 사이시옷의 올바른 개념 | 닫기 |

“사이시옷”의 올바른 개념

엣센스 국어사전(이 희승 책임감수)에서는 “사이시옷”에 대한 해설을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몇 개의 두 음절로 된 한자어에서 뒷마디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나게 하거나 ‘ㄴ’의 소리를 첨가하기 위해 앞말에 받치어 적는 ‘ㅅ’ 받침.((‘냇가’· ‘샛강’· ‘빗물’ 등의 ‘ㅅ’))>이라고 했다.

한편, 한글학회에서 펴낸 우리토박이말사전에서는 이것을 <한글 맞춤법에서, 사잇소리를 적기 위하여 쓰는 ‘ㅅ’의 이름. 겹이름씨 따위에서, 윗말의 끝소리가 홀소리인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한] 중간(中間)시옷. [참고] 사잇소리>라고 해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다시 [참고]라는 “사잇소리”의 해설을 보면 <겹이름씨 따위에서, 두 형태소 사이에 덧나는 소리. 앞 말의 끝소리가 홀소리인 경우는 ‘ㅅ’을 받치어 적고, 닿소리인 경우는 이를 표기하지 않는다. 보기 : 냇가, 콧날, 잇몸, 촛불, 가법, 호수 감법, 손등, 길가, 들것.[한] 간음(間音). 삽입음(揷入音)>이라고 풀이되어 있다.

그런데 서기1972년도 출판된 새 국어 대사전(양 주동 감수)에는 “사이시옷”이라는 어휘는 아예 수록되어있지 않다. 아마도 그 당시 한글 맞춤법에서는 이 “사이시옷”에 대한 이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았던 모양이다.

그렇다면 “사이시옷”이라는 이론은 옛날부터 사용되어 온 이론이 아니고 우리말의 맞춤법이 발전을 하면서 70년대 이후에 정립된 이론임에 틀림없다.

그런데 이 희승 책임감수의 엣센스 국어사전에서 해설하고 있는 이론은 일본말에 사용되는 “~っ(쯔)의 용법”과 어쩌면 그렇게 닮았는지 얼른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일본 글자에는 된소리 글자가 [ぱ(빠) 행]의 글자밖에 없기 때문에 다른 소리들을 된소리로 내기 위해서는 “っ(ㅉ)”라는 글자를 사이에 끼워 넣어서 된소리를 만드는 용법이 있는데 이 이론과 아주 똑같은 이론을 우리 나랏말에 적용을 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 이론이 우리 나랏말에 적용되어야 할 이유가 전혀 없다.

일본 글자에는 된소리 글자가 많지 않아서 뒤에 오는 첫소리를 된소리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방법이겠지만 한글에는 된소리를 적을 수 있는 글자가 많아서 굳이 “사이시옷”이라는 용법이 따로 필요하지 않다. 이것은 일본의 “~っ(쯔)의 용법”이 마치 우리말에도 적용되는 것처럼 엉터리 학설을 만들어 낸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한글학회에서 펴낸 우리토박이말사전에서 <한글 맞춤법에서, 사잇소리를 적기 위하여 쓰는 ‘ㅅ’의 이름. 겹이름씨 따위에서, 윗말의 끝소리가 홀소리인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라는 것과 “사잇소리”에 해설되어 있는 <겹이름씨 따위에서, 두 형태소 사이에 덧나는 소리. 앞 말의 끝소리가 홀소리인 경우는 ‘ㅅ’을 받치어 적고, 닿소리인 경우는 이를 표기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앞말의 끝소리가 홀소리인 경우”에 ‘ㅅ’을 밭치어 적고, 닿소리인 경우에는 이를 표기하지 않는다.>라고 해놓고도 예로 들고 다른 것은 모두 “사이시옷”을 썼지만 가법과 호수만은 끝소리가 홀소리임에 분명한데도 “사이시옷”을 쓰지 않고 “가법”이나 “호수”로 표기하였다. 앞말의 끝소리가 분명히 홀소리임에도 불구하고 “갓법”이나 “홋수”로 표기하지 않고 그냥 “가법”과 “호수”로 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어딘가 이 이론의 허점이 엿보여서 의심스럽다.

그러므로 “윗말의 끝소리가 홀소리인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라는 이론도 정론이 아니다. 또한, 세종어제(世宗御製)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보면 “국지어음(國之語音)”을 “나랏말 미”라고 풀이하여 “나라”와 “말”이라는 두 개의 명사(겹이름씨) 사이에는 덧나지 않는 소리임에도 “사이시옷”을 사용한 이유는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하는가? 따라서 “두 형태소 사이에 덧나는 소리”라는 이론도 역시 정론이라 할 수 없다.

“사이시옷”이란 명사(이름씨)과 명사(이름씨) 사이에 쓰는 ‘ㅅ’이라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두 형태소 사이에 덧나는 소리”도 아니며 더더구나 “뒷마디의 소리를 된소리로 나게 하기 위해서 쓰여 지는 것”도 아니다. 이것은 명사(이름씨)와 명사(이름씨)를 연결해 주는 조사(助詞)의 하나로서 우리말 특유의 소유격(所有格)을 나타내는 <간략형(簡略形) 격조사(格助詞)>라고 할 수 있다.

세종어제(世宗御製) 훈민정음(訓民正音) 서문(序文)을 보면 <國귁 나라히라 之징 입겨지라 語엉는말미라>와 같이 한자의 의미를 풀이하고 이것을 간추려서 <나랏말미>라고 간략하게 정리하여 놓았다. 여기에서 “之징입겨지라”라는 말은 오늘날 말로 바꾼다면 “之는 입겾(또는 입겿)이라”는 말로 “입겾(또는 입겿)”이라는 것은 말과 말을 이어주는 “토씨([조사(助詞)]”라는 뜻으로 “之(지)”는 소유의 뜻을 나타내는 소유격조사(所有格助詞)이다. 따라서 <나랏말미>라는 말을 현대 우리말로 풀이한다면 <나라의 말이>라는 뜻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나라>와 <말>이라는 두 개의 명사(이름씨)가 “의”라는 토씨에 의해서 연결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겠는데 <나랏말미>라는 말에서는 “의”라는 토씨가 생략되고 <나랏>으로 하여 “ㅅ”이 토씨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ㅅ”이라는 간략형 토씨는 오늘날의 “의”에 해당하는 토씨로 보아야 할 것이다.

원문에서 보는바와 마찬가지로 “나라”라는 말은 끝소리가 홀소리이고 뒷소리인 “말”이라는 소리는 된소리가 없는 말이므로 뒷소리를 된소리로 나게 하기 위해서 쓰는 것이 “사이시옷”이라는 학설은 논리에 맞지 않는 것이다.

또한 <나라>라는 소리와 <말>이라는 두 형태소 사이에는 덧날 근거가 없는 형태소를 이루고 있는 말이기 때문에 “두 형태소의 사이에 덧나는 소리”라는 학설도 논리에 맞지 않는 것이다.

“촛불”, “나룻배”, “촛대” “나뭇가지” 등등 우리말에는 “사이시옷”을 쓴 말들이 무수히 많은데 이것들은 모두 간략형 토씨를 쓴 줄인말인 것이다.즉, “촛불”은 “초의 불”, “나룻배”는 “나루의 배”, “촛대”는 “초의 대”, “나뭇가지”는 “나무의 가지”들을 뜻하는 말이지 결코 뒷소리를 된소리로 만들거나 두 형태소 사이에 덧나는 소리가 아닌 것이다.

다만 “사이시옷”을 씀으로 인해서 뒷소리가 된소리로 변질되는 경우는 있겠으나 “사이시옷”을 쓰는 목적이 단순히 뒷소리를 된소리로 나게 하기 위해서 쓴다든가 두 형태소 사이에 어긋나는 소리로 쓰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 우리말의 특성이다.

“사이시옷”이란 두 개의 명사를 하나로 묶어서 복합명사(複合名詞), 즉, 합성명사(合成名詞)를 만들어 주는 조사(助詞)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우리말로 풀이한다면 두 개의 이름씨를 합쳐서 하나의 겹이름씨를 만드는 “입겿(토씨)”이다.

한편 “입겾”이라는 말을 학자에 따라 “입겾”, “입겿” 또 심지어는 “입겻”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입겾”이나 혹은 “입겿”이 가장 온당할 것이다. 그 이유는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철저하게 소리를 적는 소리글자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만일 “입겻”이라면 <之징 입겨시라>라고 했을 것인데 <입겨지라>, <입겨체>, <입겨치>등으로 한 것을 보면 “입겾”이나 “입겿”이라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지만 <입겨체>, <압겨치>의 말이 자주 쓰이고 <입겨지>라고 쓰인 경우는 단 한번이므로 확률적으로 생각 하더라도 <입겿>이라는 말이 온당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사이시옷”은 <뒷소리를 된소리로 나게 하기 위해서 쓰는 것>이라는 주장은 일본의 <~っ의 용법>을 그대로 모방한 논리에 지나지 않으며 <두 형태소 사이에 덧나는 소리>도 아니며 우리말 특유의 소유격 조사인 “~의”의 뜻을 가지고 있는 말이다.

그런데 이 “사이시옷”을 사용해서 두 개의 명사(이름씨)를 하나로 묶어서 복합명사(複合名詞)를 만들 때 주의해야할 것이 있다. 첫째, 앞 명사의 끝소리가 홀소리로 끝나는 경에만 사용한다. 둘째, 명사와 명사가 “사이시옷”으로 연결될 때 다른 말과 혼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말일 경우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

예를 들면, “장마” 라는 명사와 “비”라는 명사 사이에는 “사이시옷”을 사용할 수가 없다. 그 이유는 우리말에는 “장맛”이라는 명사가 있기 때문에 “장맛비”라고 한다면 “장맛이 나는 비”라고 혼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냥 “장마비”라고 써야 하는 것이다. 앞으로 장마철이 되어 극심한 장마비가 내리게 되면 이 것을 강조한답시고 신문이나 TV 방송 자막에 “장맛비”라는 활자들이 활개를 칠 것이 뻔한데 이것은 어리석은 나랏말 학자들이 만들어 놓은 일본식 발음법이다. 오래 전에 한글학회의 성 지기님이 “장맛비”에 대한 글을 올린 것을 보았는데 이것은 잘못된 말이므로 바로 잡는 것이 옳을 것으로 생각한다. 세상에 “장맛이 나는 비”가 어디에 있단 말인가?

한글은 세상 만물의 소리를 모두 적을 수 있는 글자이어서 “삐”라는 소리를 내기 위해서 혼동을 일으킬 소지가 있는 방법을 쓰지 않게끔 되어있는 글자이므로 굳이 “사이시옷”을 써가면서 일부러 혼동을 일으킬 소지를 만들어서는 안 될 것이다. 심한 장마철의 비를 나타내려면 그냥 “큰 장마비”, “대단한 장마비” 등과 같이 적절한 형용사를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법이며 굳이 된소리를 사용하고자한다면 “장마삐” 혹은 “장맙비”로 하는 것이 올바른 우리말의 사용법일 것이다.

어떤 사람은 “태양의 빛”과 같이 “~의”를 사용하는 건은 일본말의 “~の(노)”의 용법이므로 “태양빛”같은 말로 써야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지만 만약에 그렇게 된다면 우리말에는 소유격 조사가 없다는 말이 된다. 그러면 우리말의 소유격 토씨는 과연 어디 가서 찾아야 하는가?

우리는 “나의 것”, “너의 것”을 “내 것”, “네 것”이라고 말한다. 이 말들은 “나의”의 “의”에서 “으”를 빼버린 “ㅣ”를 “나”에 붙여서 “내”가 되고 역시 “너”에 “ㅣ”가 붙어서 “네”라는 소유격으로 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의”라는 토씨[조사(助詞)]는 우리말의 “입겿”인 것이다. 그러므로 결코 “~의”라는 말을 쓰는 것은 일본말을 흉내 낸 말이 아니다. 또한 “~의”라는 조사(助詞)의 또 다른 줄임 말이 바로 사이시옷인 것이다. 만약 “~의”라는 소유격 토씨가 우리 토박이말이 아니라면 소유격 조사인 “之(지)”의 진정한 우리말은 찾을 길이 없는 것이다. 이 세상의 어느 나라말이든 소유격 조사가 없는 나랏말은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 인간들은 원시시대부터 소유를 위해서 투쟁하고 생존해 왔기 때문에 그 어떤 언어보다 소유하려는 말이 제일 먼저 발달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이다. “해의 빛”이라는 말을 간략형 조사 사이시옷을 써서 줄인 “햇빛”이라는 토박이 우리말이 있는데 굳이 “태양”이라는 한자말을 쓸 필요가 있을까 의문이다.

한글연구회

_M#]

사이시옷은 최근들어 더욱 쓰임이 많아졌다. 몇 년 전만 해도 분명 ‘하굣길’, ‘전셋값’, ‘예삿일’ 같은 단어는 쓰이지 않았다. 그런데 요 근래 급속하게 사이시옷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분명히 피부로 느낄 수 있다. 언어는 세월이 갈수록 변하는 것이 당연하므로 이런 현상을 나무랄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동시대에 각 방송 매체마다 혹은 각 사전마다 똑같은 단어를 서로 다르게 표기하는 현상에는 분명히 문제가 있다. 하루속히 사이시옷의 쓰임에 대한 대원칙을 세울 수 있기를 바란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